책소개
플로베르는 일생을 작가로 살았지만 작품이 그리 많지는 않다. 자신의 생각과 정확하게 일치하는 표현을 찾느라고 끊임없이 문장을 고치고 다듬고 다시 쓰면서 언어를 조탁했기 때문이다. 표현에 완벽성을 부여하기 위해 치열하게 언어를 탐구한 결과, 한 편의 소설을 쓰는 데 오륙 년의 오랜 시간이 필요했다. 플로베르는 장인으로서의 작가라는 새로운 작가상을 제시했을 뿐만 아니라, 소설을 언어의 문제로 간주하여 주제보다 문체를 중시하고, 완전한 형식을 통해 절대적인 미를 추구했다. ≪부바르와 페퀴셰≫는 작가가 1872년부터 준비에 들어갔지만, 글쓰기가 너무 고통스러워 집필을 중단했다가 재개하였으나 죽음으로 인해 끝내지 못한 마지막 소설이다. 부바르와 페퀴셰는 농사가 실패한 원인을 찾다가 책에서 자신들의 문제점을 알고, 그때부터 책을 통해 세상을 배운다. 두 사람의 이야기에 당대의 수많은 사상과 학문이 섞임으로써 이야기가 사라지고 대신 책들이 등장하게 된다. 전혀 새로운 방식의 소설 쓰기를 시도한 것이었다.
19세기는 과학이 진리이고 인류에게 행복을 가져다주고 구원해 주리라고 기대했던 과학의 시대였다. 소설에는 이 과학의 세기에 대한 희망과 환멸이 선명하게 드러나 있다. ≪부바르와 페퀴셰≫에는 인간의 모든 지적 활동이란 무용하고, 불변의 진리도 없다는 작가의 허무주의적 세계관이 어느 소설보다 진하게 배어들어 있다. 또한 ≪마담 보바리≫와 ≪감정 교육≫처럼 당대의 부르주아 세계를 배경으로 하였다. 대혁명과 19세기 정치, 사회, 경제의 주역인 부르주아에 대한 작가의 인식은 지극히 부정적이고 냉소적이었다. 플로베르에게 부르주아는 ‘누구든 천박하게 생각하는 사람’으로 어느 소설에나 그에 대한 증오와 경멸이 담겨 있다. 소설에서 어리석게 보이는 인물이 있다면 부바르와 페퀴셰가 아니라 바로 샤비뇰의 부르주아들이다. 그들의 상투적이고 진부한 말과 사고방식이야말로 작가가 진정으로 조롱하는 대상이다.
200자평
플로베르는 이 소설에 ‘인간의 어리석음에 관한 백과사전’이라는 부제를 붙였다. 농사가 실패한 원인을 찾다가 책에서 자신들의 문제점을 알고, 그때부터 책을 통해 세상을 배우는 부바르와 페퀴셰의 이야기에 당대의 수많은 사상과 학문이 섞임으로써 이야기가 사라지고 대신 책들이 등장하게 된다. 이 특이한 소설 쓰기 방식에 이론들이 적용되기 어려운 현실을 문제 삼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볼 수 있다. 또한 19세기 정치, 사회, 경제의 주역인 부르주아 세계를 묘사함으로써 개인의 이익을 우선하는 부르주아의 모습에 대해 고수하는 작가의 냉정하고 솔직한 시선을 엿볼 수 있다.
지은이
귀스타브 플로베르는 1821년 프랑스 북부 도시 루앙(Rouen)에서 태어났다. 의사인 아버지의 영향으로 어려서부터 고통과 질병, 죽음의 분위기를 체득하며 인간에 대한 깊은 관심을 갖게 된다. 소년 시절 읽은 ≪돈키호테≫에 매료되어 글쓰기에 관심을 갖고 몇몇 단편 소설들을 습작한다. 파리의 법과대학에 등록하나 적성에 맞지 않아 낙제하기에 이른다. 간질로 추정되는 신경발작을 계기로 학업을 그만두고 루앙으로 돌아와 요양을 하며 집필에 전념했다. 이때부터 십자가의 고행에 비유되는 작가의 글쓰기가 시작된다. ≪감정 교육(L’Education Sentimentale)≫의 첫번째 원고와 ≪성 앙투안느의 유혹(La Tentation de Saint Antoine)≫이 이즈음 쓰였다. 1856년 ≪마담 보바리(Madame Bovary)≫를 완성해 ≪르뷔 드 파리≫지(誌)에 연재했다. 그러나 작품의 몇몇 대목이 선정적이고 음란하다는 이유로 작가와 잡지 책임자 그리고 인쇄업자가 기소당한다. 쥘 세나르의 명쾌한 변론으로 무죄 판결을 받는다. 이후 작가는 문학적 명성과 대중적 인기를 함께 얻으며 ≪살람보(Salammbo)≫, ≪감정 교육≫, ≪순박한 마음(Un Coeur Simple)≫ 등을 발표했다. 내용과 형식이 분리되지 않는, 생명체처럼 완결된 작품을 꿈꾸던 작가는 1880년 5월 미완의 작품 ≪부바르와 페퀴셰(Bouvard et Pecuchet)≫의 원고를 책상 위에 남긴 채 뇌일혈로 사망했다. 카프카는 이 작가의 글쓰기를 소설가의 전범(典範)으로 칭송하며 문학의 수도승으로 섬겼으며, 이 작품이 간직한 풍요롭고도 실험적인 스타일들은 이후 도래한 모든 문예 사조의 씨앗이 되었다.
옮긴이
김계선은 숙명여자대학교 불어불문학과와 같은 학교 대학원을 졸업했다. 프랑스 파리 4대학에서 플로베르를 연구하여 <플로베르와 공간>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성 앙투안의 유혹, 혹은 글쓰기의 유혹>을 비롯하여 플로베르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고, 저서로 ≪프랑스 문화의 이해≫(공저)가 있다. 현재 숙명여자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다.
차례
해설
지은이에 대해
1장
2장
3장 요약
4장 요약
5장 요약
6장
7장 요약
8장 요약
9장 요약
10장
옮긴이에 대해
책속으로
페퀴셰는 이따금 주머니에서 개론서를 꺼내 첫 장에 그려진 정원사와 같은 자세로 삽을 옆에 두고 서서 책을 읽곤 했다. 이런 닮은 모습에 그는 아주 뿌듯했다. 저자를 더욱 존경하게 되었다.